우리에게 필요한 영양소 중에서 에너지원으로 쓰이는 것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3가지이다. 그 중에서 탄수화물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대표적으로 뇌의 유일한 에너지원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중요한 탄수화물이지만 여기저기서 탄수화물의 섭취를 줄여야한다는 말이 많이 들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탄수화물의 역할과 그 종류를 통해 그 이유를 알아보자.
탄수화물은 근육과 뇌 뿐만 아니라 세포를 움직이게 하는 생명체의 중요한 에너지원이다. 탄수화물 1g은 4kcal의 열량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뇌는 아주 많은 양의 포도당을 사용한다. 탄수화물은 탄소와 물이 결합한 물질로 보통 "당"이라고 부르는데, 단당류와 다당류로 나눌 수 있다.
우리 몸에 좋은 탄수화물(당)은 혈당을 천천히 올리면서 운동 에너지원이 되는 것인데, 우리 입맛에 맛이 좋은 음식들은 대부분 좋은 탄수화물이 아니다. 빵, 국수, 과자, 케이크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런 음식들은 우리 머릿속에 그 맛을 각인시키고 그 맛을 계속해서 찾게 만든다. 왜냐하면 대부분 정제 탄수화물로써 단맛을 더한 첨가 탄수화물이 많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물론 흰쌀밥도 혈당을 빨리 올리는 음식이기 때문에 되도록 잡곡밥이나 현미밥을 먹는 것이 좋다. 또는 흰쌀밥을 먹을 때 나물 반찬이나 생선같은 음식을 함께 섭취하면 혈당 속도를 늦추는데 도움이 된다.
탄수화물 대표 식품
1.음식 (복합 탄수화물 = 다당류)
밥, 라면, 국수, 과자, 떡, 빵 등
2.곡류 (복합 탄수화물 = 다당류)
쌀, 보리, 밀 등
3.감자 및 전분류 (복합 탄수화물 = 다당류)
감자, 고구마, 찰옥수수 등
4.당류 (이당류 탄수화물)
유당(우유 속에 든 단순 탄수화물), 서당, 맥아당
5.당류 (단당류 탄수화물 =단순당)
포도당, 과당(꿀, 시럽), 갈락토오스, 잼류, 사탕류, 초콜릿 등
탄수화물을 과잉 섭취할 경우 지방으로 전환되어 주로 복부에 저장된다.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전환될 때는 중성지방으로 전환되어 당뇨나 고혈압, 심장병, 비만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탄수화물은 성인 기준으로 하루 최소 100g 이상 섭취해야하지만 되도록 흰 쌀밥이나 일반 빵보다는 현미밥, 통밀빵 등을 섭취하고 아침, 점심, 저녁의 비율은 3:2:1로 지키면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된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의 종류와 기능 및 대표식품 (0) | 2022.06.25 |
---|---|
단백질의 기능과 대표 식품 (0) | 2022.06.08 |
우리 몸에 필요한 영양소와 섭취 기준 (0) | 2022.05.25 |